▶lecture_웹진강의 :: 웹진으로 하는 강의, 인터넷강의입니다!


이 인터뷰는 2016년에 캠브릿지 대학의 사라 프랭클린이 진행했다. 프랭클린은 해러웨이의 오랜 독자이자 팬이다. 2016년에는 다나 해러웨이의 새 책들인, “Manifestly Haraway(Minnesota,2016)”와 “Staying with the Trouble: Making Kin in the Chthulucene(Duke, 2016)”이 출간되었는데, 이 인터뷰는 “Staying with ~”의 출간 직전에 이루어졌다. 사라 프랭클린은 이 인터뷰를 통해서 해러웨이 작업의 몇 가지 핵심적인 주제와 핵심 용어들, 그리고 그녀의 글쓰기 실천들을 탐색하고 있다. 

                                                                다나-사라.png

 

선언과 함께하기: Donna Haraway 인터뷰  (Staying with the  Manifesto: An interview with Donna Haraway)  -2편

Sarah Franklin (University of Cambridge)
Theory, Culture & Society 0(0) 1–15 

 

번역: 최유미

 

인터뷰 1편 보기

프랭클린: 예, 물론이지요. 자, 그 얘기가 우리가 이야기 할 수 있는 방향을 여러 가지로 열어 주네요. 하지만, 잠깐만, 당신이 사용하는 말들에 관한 주제로 돌아가서, 그리고 어떻게 그것들을 사용하는지, 거기에 대한 당신의 생각, 아마도 가장 중요하고 이 관점에서 더 최근의 것으로는 ‘Anthropocene(인간세)’와, 그리고 ‘Capitalocene(자본세)’라는 말과 관련하여 그 용어에 관한 당신의 생각. 이 두 가지 용어들에 대해서 조금만 말해 주시겠습니까?

 

해러웨이: 예, ‘인간세’는 해수의 산성화와 온난화, 그리고 인류가 생겨난 과정들이 가장 근본적인 레벨에서 지구상의 생명을 변형시키는 것에 관심이 컸던 한 과학자가 제안한 것입니다. 설사 어떤 사이보그 용어가 있다 하더라도, 그것은 ‘인간세’이죠. 인간세는 그런 종류의 척도만들기의 구현입니다. 설사 그런 종류의 척도들에 대해서 측정하고 그 상황을 알고 있다고 강력하게 주장할 수 있는 어떤 사이보그 지식 기구가 있다 하더라도 말입니다.

이 용어는 여러 층위에서 나를 신경 쓰이게 하는데요, 특히, 인간(anthropos)이 관심의 중심이라는 느낌, 또, 그리고, 종말로 끝나는 파괴의 궤적이 정말 어떤 anthropos의 이야기, 어떤 ‘치켜든 자’의 이야기라는 느낌이 들어요. 이것은 ‘anthropos’의 어원학상의 의미들 중 하나이기도 하고, 남자(man)와 인간(mankind)의 이야기의 일부입니다. 그건 우리가 처한 곤란에 이름 붙이는 데 있어서 근본적으로 인본주의자적인 방식을 제안합니다. 물론, 그것은 우리를 함께 끌고 가는 파괴적 프로세스에서, 인간이 핵심 행위자- 어떤 사람들은 중추행위자라고 할지 모르는데요- 가 되는 방식을 정확하게 명명하죠. 그러나 그건 쓸데없이 우리를 하나의 종으로 일반화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우리를 인간들로서 위치시키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종으로서 위치시키는 거죠. 호모사피엔스사피엔스는 수 만년에 걸쳐, 잘못 명명됩니다. Anthropos는 종(species)로 일반화되는 경향이 있기에 곤란에 처합니다.

 

이게 내가 ‘자본세(Capitalocene)’을 선호하는 몇 가지 이유들입니다. 만약 우리가 단지 한단어로 말해야한다면, 그렇다면 확실히, 자본주의의 역사가 더 나은 이름일 것입니다. 우리가 하나의 이름을 원한다면 말이에요. 자본주의는 쥐어짜고, 성장하라는 명령들, 그리고 그 자신을 확장시키라는 가차 없는 명령과 함께하죠. 그리고 그건 적어도 우리를 500년 뒤로 되돌립니다. 우리가 자본주의의 역사와 그것이 만들어온 거래의 영역(transaction zone)과 쥐어짜기 영역(extraction zone)들에 관해 심각하게 생각한다면 말입니다.

anthropocene2.jpg

 

그러나 나는 또한 ‘플랜테이션세(Plantationocene)’라는 용어를 원합니다. 부분적으로 플레테이션의 역사는 산업 자본주의에 기초하기 때문입니다. 그 역사는 사람과 식물들의 운송, 강제된 노동 시스템들, 그리고, 그것이 임금 노동이건 노예 노동이건 간에 강제적 노동을 위한 단일재배로의 생활방식의 단순화에 기초하죠. 특히, 노예 노동과 운송, 그리고 속박상태에 두기 위한 종족말살이었습니다. (그들을 속박의 조건하에 있는 사람들로 대신하기 위한 종족들의 파괴.) 인간을 포함해서 유기체들의 강제 이주가 이 플렌테이션세입니다 – 그건 끝나지 않았습니다. 오늘날 기름야자나무 플렌테이션이 아마 가장 유명한 예일 것이고, 대두나 옥수수도 있습니다.

plantationocene.jpg

 

플랜테이션 단일재배 시스템들, 그리고 인간도 포함할 뿐 아니라 미생물도 포함하고, 동물들과 다른 식물들 그리고 미생물도 포함한 지구의 강제 노동. 플랜테이션세는 절대로 끝나지 않았고, 그것은 자본세(Capitalocene)의 기본적인 축입니다. 그리고 내 생각에는, 그 말들이 ‘인간세’보다는 현재 일어나고 있는 현상을 더 잘 명명합니다. 또 나는, ‘chthulucene(쑬루씬)’이란 말이 필요한데, 철자는 ‘chthonic’(싸닉)처럼 써요. C-H-T-H 땅 속에 사는 것들, 서로 얽히고, 진행 중이고, 생성적이고, 파괴적인 지구의 존재자들. 그것은 정말이지 거의 퇴비와 동의어 입니다. 꼭 정확하게 그런 건 아니지만 chthonic(싸닉)은 퇴비와 관련이 있습니다.

그리고 쑬루씬(Chthulucene)은 러브크래프트(Lovecraft)의 가부장적 Cthulhu(크툴루) 괴물이 아닙니다. 그것은 절대로 러브크래프트 이야기가 아니고, 그것은 싸닉(chthonic) 에 관한 것입니다. 지구의 서로 얽힌 힘과 권력들 그리고 존재자들은 끝나지 않죠. 그리고 우리는 그것들에서 왔지요. 우리는, 과거가 아니라 지금 우리가 처한 번영을 위해서 스스로를 정렬시킵니다. 땅속에 사는 것들은 단지 고대의 것들이 아니에요. 비록 그것들이 오래된 것들이기는 하지만 말이에요. 그것은 오히려 지구 속에서, 지구의, 그리고 지구를 위한 것으로서의 우리자신을 재확인 하는 것이죠. 그래서 나는 ‘쑬루신(Chthulucene)’을 좋아합니다. 그런대, ‘-cene’, 접미사 ‘-cene’은 카이노스(kainos), 지금을 의미합니다, 두터운 지금(a thick now), 최근의 시간들, 지금이라는 시간. 이 지금이라는 것은 순간이 아닙니다. 오히려 그것은 응답-능력 – 응답할 수 있는 능력-에 관한 광범위한 시간성입니다.

프랭클린: 예, 응답하기, 이것이 두 번째 선언인 반려종선언(Companion Species Manifesto[2003])의 중심 주제들 중 하나죠. 반려종 선언은 일어나는 일에 대해 반드시 이해해야 한다거나, 꼭 그럴 필요는 없다는 맥락 속에서 응답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에 관해 조심성과 응답하기를 강조합니다. 그래서 우리가 그 물음 – ‘우리는 인간이 아닌 것들로부터 무엇을 배워 왔는가?’ 라는 물음 – 을 생각하면, 첫 번째 선언은 엄청납니다, 우리는 인간이 아닌 존재자들, 특히 기계들로부터 무엇을 배웠는가? 그리고 두 번 째는, 정말, 우리는 인간 아닌 동물들로부터 무엇을 배웠는가?

 

반려종선언.jpg

 

해러웨이: 전경과 배경이죠. 왜냐하면 첫 번째 것 또한 둘 다를 포함했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일종의 삼중의 경계 붕괴 혹은 얽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계-동물, 기계-유기체, 동물만이 아니라 미생물과 식물까지도 말입니다. 기계유기체, 인간동물, 생물적인 것, 비생물적인 것들은 모두 사이보그적으로 경계를 재형성하는데 관련되죠.

그러나 전경과 배경입니다. ‘사이보그 선언(Manifesto for Cyborgs[1985])’은 기술적 존재자들 – 세포들과 미생물들, 혹은 세포들과 분자들, 기술적 존재자로서 재구성된 것들– 을 전경화 했습니다. 그런데, 반려종선언(The Companion Species Manifesto[2003])은 그것을 전혀 배제하지 않았고, 다른 종류의 관계들- 노동과 놀이, 스포츠와 정복, 정복과 관련된 개들의 관계를 포함해서- 살아 있는 생물들을 전경화 했습니다. 그것은, 사이보그선언이 그랬던 것보다는, 인간-생물의 관계들, 특히 동물을 전경화 했습니다. 그래서 그것들이 전경이고, 배경은 이동합니다.

사이보그선언.jpg

프랭클린: 당신의 새 책에서 이 두 가지 선언들이 나란히 짝을 이룬 뒤에, 곧 이은 캐리 울프(Cary Wolfe)와의 인터뷰에서 당신이 한 코멘트들 중 하나가 있는데요. 당신은 반려종 선언을 쓴 이후에, 아마 농업 산업 복합체라고 할 텐데, 그것에 관해 훨씬 더 많이 생각하게 되었다고 했습니다. 그건 미국의 식품 공급을 결정하는 대규모 농장과 동물 생산방법이죠. 다른 많은 선진국에서처럼 말이에요. 그래서, 돌이켜 보건대, 왜 그것이 더 큰 중요성을 갖게 되었는지에 대해서 조금 이야기해 주시겠습니까?

해러웨이: 맞아요. 그것이 더욱 두드러지게 된 것은, 내 생각에, 내 친구들과 동료들이 내가 충분히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것에 대해 설명하라고 요청했기 때문이에요. 여러 레벨에서 나에게 설명하라고 요구했죠. 나는 산업적 농업에 대해 하나의 문제로서 혹은 기타 등등으로서 이미 알고 있었죠. 하지만, 정말 나는 산업적-동물 공장들에서의 동물들과 인간들에 대한 노동 조건에 적절하게 주의를 기울이지 못했습니다. 나는 그것을 농업이라고 부르길 거부합니다.

있잖아요, 애니 포츠(Annie Potts)는 심오한 사상가이고, 배우이고, 작가입니다. 그리고 캐롤 애담스(Carol Adams[see Adams, 2016]) 같은 사람들 – 이 사람과는, 애나 씽(Anna Tsing)의 의미에서, 일종의 같은 계통의 마찰 속에 있습니다- 나는 채식주의자 페미니스트들이 나에게 설명하길 요청한다고 생각했고, 내가 정말 그것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의를 기울여야 했습니다. 정말이지 좋지 않았습니다. 그 다음, 프랑스에 있는 요슬린 포세(Jocelyn Porcher) 같은 사람들인데, 이 사람은 축산 – 그건 내가 계속 긍정하는 종류인데요 – 과 육류 공장 양쪽을 연구합니다. 몇 개의 프로잭트에서는 벵시안 데스프리(Vinciane Despret)와 함께 일했습니다. 그런데, 그녀는 북아메리카의 돼지고기 생산 산업에 관해 정말 흥분을 금치 못할 민족지적인 연구를 했어요.

그 다음은, 학생들, 특히 에릭 스탠리(Eric Stanley), 옛날 나의 학생인데, 생각이 깊은 사람이고, 나에게 강제된 죽음만이 아니라, 강제된 삶에 주의를 기울이라고 가르쳐 준 남자입니다. 인간 감옥의 상황에서뿐만 아니라, 동물 공장 상황에서의 강제된 삶 말이에요. 에릭은 조교로서 나를 도왔고, 내가 주의를 기울이도록 만들었지요. 특정의 사람들이 내가 관심을 기울이고, 생각하고, 느끼도록 만들어 주셨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 점에 관해서 언제나 과정 중에 있다고 생각해요. 지금 나는, 채식주의를 깊이 존경합니다. 어떤 긍정의 정치학뿐만 아니라, 일종의 목격자로서, 일종의 “아니요”로서, 큰소리로 “아니요!”로서 말입니다. 나는 채식주의자가 아닙니다. 그리고 여러 가지 이유로 지속 가능한 동물 농업을 지지합니다. 델마 로웰(Thelma Rowell)이 그녀의 양에게 한 것들은 좋은 예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말하는 어떤 정치학이 좋은 예이죠. 보세요, 이 지구 전반에 걸쳐 있는 목축민들은 엄청난 지위 압박과 기업 인수인계, 그리고 중앙집중화의 위험에 처해 있었습니다. 그리고 계속해서 이렇게 일이 진행되죠. 나는 목축민들의 상황에 처해진 그런 류의 실천들과 상황에 처해진 사람들의 지원에 전념합니다. 내 생각에, 토착 주권의 정치가 이런 문제들- 사냥, 예를 들면, 북극 주변의 이뉴잇족, 그리고 더 많은 사람들의 문제들의 많은 부분에 관련됩니다.

나는 또한 수백 년 수천 년에 걸쳐서 농업을 개발해 온 생물들과 인간들이 단지 박물관의 표본이 되는 것을 보고 싶지 않습니다. 나는 식품을 만드는 노동은 좋은 것이라고 생각해요. 그것은 죽이기와 먹기가 포함됩니다. 그래서 그것은 무구함에 관한 것이 아닙니다. 무구함는 결코 나를 잡아 끌지 못했습니다. 우리가 낙태 정치학에 관해서 이야기 하고 있든, 일하는 동물들과 우리의 관계에 관한 물음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든, 임신중절에 반대하는 정치학(Pro-life politics)에 반대합니다. 왜냐하면, 내 생각에, 임신 중절에 반대하는 정치학은 그 뿌리에는 박멸주의자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것 때문에 나는 다수의 나의 동료들과 마찰 관계에 있습니다. 그것은 움직이는 이슈입니다. 어디에서 풀릴지 모르겠습니다. 그것은 목적론적인 프로세스가 아닙니다. 하지만 나에게는 그 노력이 더 격렬해졌다는 걸압니다.

프랭클린: 예, ‘강제된 삶’이라는 표현은 원예학과 농업과 플렌테이션과 흥미 있는 관계를 갖습니다. 그것은, 생산을 조직하는데 필수적인 시스템들을 조직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라는 관점에서, 살아있는 것과의 어떤 관계를 서술하는 방식입니다. 당신은 그것이 마르크스가 실제로 그렇게 많은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던 것이라고 말하실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는 땅의 비옥도를 어느 정도 당연한 것으로 여겼던 것 같습니다. 반면에, 그 비옥도를 재생산하는 것은 농업뿐만 아니라 산업 자본주의에도 매우 중요한 것으로 되어 왔습니다. 그래서, 당신에게 있어서, 강제된 삶이라고 말할 때, 강제하기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그냥 통제를 말하는 겁니까?

 해러웨이: 아니요.. 그 이상입니다. 하나는, 통제라는 말이 항상 나쁜 용어는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있잖아요, 나는 농업에서의 통제, 농장에서의 통제, 강아지 기르기에 있어서의 통제를 생각합니다. 통제의 실천들 없이, 매너 좋고 행복한 강아지를 누구라도 한번 길러 보라지요. 스스로를 통제하는 것을 포함해서 말예요.

프랭클린:예, 동의합니다(둘 다 웃음)

해러웨이: 어쨌든, 아니, 내가 생각하기에, 강제된 삶은, 내가 그 말을 사용하고 있는 방식들이나 에릭이 나에게 가르쳐준 방식, 그리고 당신도 그런 방식으로 그것을 사용하고 있다고 생각하는데요, 그건 쥐어짜기와 이익을 향한 모든 생식력의 조직 같은 것과 관계가 있습니다. 그것은 이익을 쥐어짜기에 관한 것이지, 살아있는 것을 위해서가 아니죠. 그것은 번영을 위한 삶과 죽음의 힘을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쥐어짜낸 이익을 위한 것입니다.

프랭클린: 예, 그것이 플렌테이션이 축약적으로 의미하는 것이지요, 어떤 의미에서는 말이에요. 플렌테이션은 쥐어짜기가 최대화 될 수 있는 방식으로 대단히 통합적인 생명 조직입니다.

 해러웨이: 정확히 그래요. 특히 폭력적인 단순화를 통해서이죠. 그런데, 애나 씽(Anna Tsing)과 내가 지오-페미니즘(geo-feminism) 세미나 하나를 같이 가르치고, ‘넓은 사르가소 해(The Wide Sargasso Sea)’를 함께 읽을 때, 몇 가지 다른 것들도 하며 시간을 보냈어요. 우린 많은 시간을 카리브해(Caribbean)의 노예 정원들과 노예 정원들의 중요성에 관해서 이야기하면서 보냈습니다. 물론, 그것들은 음식과 생존을 위한 것이었어요. 또한 아름다움을 위한 것이기도 했죠. 또 일종의 자율성을 위한 것이기도 했고요. 자율성이란 말은 적당한 말이 아니군요. 그건 노예 정원에서의 일종의 견뎌 내기입니다, 어쨌든 얼마간은 말입니다. 노예정원은 성장의 장소였고, 부분적인 번영과 부분적인 저항의 장소였어요. 나는 노예 정원이 플렌테이션 역사에서 충분한 관심을 받지 못했다고 생각해요. 약간의 관심을 받긴 했지만요. 나는 노예 정원의 실천으로부터 여전히 물려받고 있는 것에 대해 이해할 여지가 크게 있다고 생각해요.

 

- 다음 호에 계속됩니다 -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8 [해석과 사건9] [보론 1] 들뢰즈에게 ‘플라톤주의의 전복’이란 무엇인가? file nomadia 2018.02.06 1173
127 번역 :: [칸트의 경험의 형이상학] 번역 _ 3회 file 김민우 2018.01.20 1595
126 [번역-동물권리선언] 동물과 비장애인중심주의 file 큰콩쥐 2018.01.12 779
125 [해러웨이] 반려종과 실뜨기 하기(2) file compost 2018.01.03 943
124 [해러웨이] 반려종과 실뜨기하기(1) file compost 2017.12.31 1234
123 [헤러웨이] 선언의 사상가 다나 해러웨이 file admin 2017.12.25 2986
122 번역 :: [칸트의 경험의 형이상학] 번역 _ 2회 file 김민우 2017.12.05 694
121 번역 :: 게으름과 근면의 관계를 스스로 분배하는 노동을 위해 file Edie 2017.11.20 659
120 [해석과 사건8] 데카르트와 프루스트-삼중의 질서와 타자의 왜상 file nomadia 2017.11.08 3125
119 번역 :: [칸트의 경험의 형이상학] 번역 _ 1회 김민우 2017.11.02 1293
118 [헤러웨이] 선언과 함께하기-다나해러웨이 인터뷰(마지막 편) file compost 2017.10.28 750
» [헤러웨이] 선언과 함께하기-다나해러웨이 인터뷰(2편) file compost 2017.10.20 1441
116 [헤러웨이] 선언과 함께하기(1)-다나해러웨이 인터뷰 [4] file compost 2017.10.10 4158
115 번역 :: ‘일본인 위안부’ 담론에 대한 내재적 비판의 시도 [2] file Edie 2017.09.19 990
114 [해석과 사건7] 주체와 타자-코기토의 전복 [1] file nomadia 2017.09.05 5601
113 번역 :: 폭동과 학살의 남성성(후지노 유코, <도시와 폭동의 민중사 – 도쿄 1905-1923>) [1] file Edie 2017.06.18 695
112 번역 :: [가게모토 츠요시] 한국전쟁 시대의 "공작자"들의 문화=정치 수유너머웹진 2016.12.23 42
111 [해석과 사건6] "홀림"-목적론과 결정론 수유너머웹진 2016.12.04 232
110 [칼 슈미트 입문강의] 7강 첫번째 부분 수유너머웹진 2016.11.23 389
109 [해석과 사건5] 아리스토텔레스와 아우구스티누스 [1] 수유너머웹진 2016.11.20 57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