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모집 :: 강좌소개, 강사인터뷰를 위한 게시판입니다!


'20세기는 아마 들뢰즈의 세기가 될 것'이라고 미래를 전망하였을 때,

푸코의 양손에는 들뢰즈의 <의미의 논리>를 들려 있었습니다. 


<의미의 논리>는 '존재' 중심의 오래된 사유 이미지와 결별하고 '생성-사건' 중심의 새로운 사유 이미지를 구축하려고 하는

들뢰즈의 장대한 철학 기획을 (<차이와 반복>과 더불어) 사실상 완성한 작품입니다.  


<의미의 논리>는 '사건'을 이야기하고 '의미'를 이야기하는 책입니다.

동시에 그 책 자체가 또 하나의 '사건'이자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책에서 들뢰즈는 '사건'과 '의미'에 대하여 어떤 이야기를 하고 있을까요?

이 책은 왜 우리에게 '사건'과 '의미'로 다가올 수 있을까요?

박준영 선생님께서 강의 시간에 친절하게 설명해주시겠지만,

인터뷰 형식을 빌어 미리 몇 마디 들어봤습니다.




강사 소개 : 박준영


"수유너머 104 회원. 프로이트와 니체를 마구잡이로 읽으면서 10대중후반을 보낸 것 같다. ..."

(중간 생략, 자세한 내용은 여기http://www.nomadist.org/xe/lecture/2442761로 click!!)

 


6ffc0c8bfb7892fe438ea43a521e6012.png

벽에 붙어 있는 8장의 사진 중 맨 위쪽 가운데 있는

(니체 오른쪽에, 마르크스 위쪽에, 리쾨르 왼쪽에) 사진이 '들뢰즈'입니다.




Q1. 먼저 들뢰즈라는 철학자는 어떤 사람인지요? 사진을 보니까 그냥 외국인 아저씨 같으시던데요? ㅎㅎ'


5a6fc570d32d24e1c9f808cf50c15c9b.jpg

Gille Deleuze


ㅎㅎ , 상당히 마음 좋아 보이지요? 실제로도 그런 편이라고 합니다.

들뢰즈가 직접 밝히기를 자신은 논쟁을 좋아하지 않고, 또 그걸 피하기도 했다는군요.

그래도 그가 말년에 남긴 인터뷰에서는 상당한 독설을 날리기도 했답니다. 특히 기자들을 바보들이라고 했더군요.

그런데 이런 건 대개 단편적이기 때문에 들뢰즈의 됨됨이에 대한 추측일 뿐입니다.

왜냐하면 들뢰즈 자신이 개인적인 기록들이 별로 남기지 않았고, 그러다 보니 평전이라고 할 만한 책도 나오지 않았지요.

중세나 근대초의 철학자들처럼 서신왕래를 활발히 한 것도 아니랍니다.

그냥 단편적인 일화 같은 것이 몇몇 남아 있는데, 그걸 말 그대로 신뢰할 수 있을지도 의문입니다.

그래서 들뢰즈와 같이 철학만이 남아 있는 철학자도 드물다고들 합니다.


첫 시간에 제가 들뢰즈 연표를 나눠드릴 텐데,

거기 보시면 68혁명 때와 그 이후 사회 활동 정도가 좀 눈에 띄는 활동이고 그 외에는 모두 저작이나 강의 활동이란 걸 아실 겁니다.

그래도 아직 발굴되지 않은 자료들이 꽤 있을 테니 연구자들의 노고를 기다려 봐야겠지요?




Q2. <의미의 논리>는 철학사 안에서 어떤 위치를 가지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서양철학에서는 존재론이라는 것이 면면히 이어져오고 있는데요,

딱 잘라 언제부터다 라고 할 수는 없지만, 그것이 본격적으로 철학의 의식적인 대상이 된 것은 아리스토텔레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때 주로 문제가 된 것은 존재 자체지요. 여기서 존재 자체는 우리가 보통 '있다'라고 할 때, 있음의 본질을 의미합니다.

삶과 세계의 대전제를 존재로 본 것이지요. 진정한 철학은 이것을 탐구해야 한다는 것이 주류를 형성했습니다.


그런데 이럴 경우 문제가 되는 것이 생성이라는 것입니다.

생성은 존재와는 달리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계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이 생성의 편에서 존재론을 전개한 사람들이 있었는데, 멀게는 헤라클레이토스부터 가까이는 니체와 베르그송에 이르지요.

들뢰즈는 이 중 후자, 즉 생성의 철학에 속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 그렇다고 들뢰즈가 존재를 탐구하지 않거나 부정하지는 않습니다. 그렇게 보면 큰 실수지요.

다만 들뢰즈는 생성의 철학자로서 생성을 존재와 대등하게 보거나, 때로는 오히려 생성만이 존재한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의미의 논리>는 그래서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꾸준히 견지하고,

생성의 철학 편에서 스토아학파와 고대유물론자들 그리고 니체를 중심에 가져다 놓습니다.


이렇게 해서 강조되는 개념이 바로 사건이지요.

20세기 들어 지금까지 이 철학적 존재론은 급진적인 정치정세(68혁명)와 더불어

그간의 주류 존재론에 균열을 일으키는 일군의 철학자들을 배출했습니다. 푸코와 데리다, 그리고 들뢰즈가 바로 그런 사람들입니다.

그래서 이 책은 존재 자체의 특권에 반대하고, 생성으로 돌아가는 사유의 전환점에 위치한 텍스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0277415beb03a2bb8c8647e598659983.png

'생성'과 '사건'의 작품 <의미의 논리>의 불어 원본, 국역본, 영역본, 일역본(시계 방향)입니다.

우측 하단에 있는 일역본은 아담한 사이즈이지만, 가격은 아담하지 않아요.



Q3. 저도 몇 년 전에 <의미의 논리>를 읽다가 중도에 포기한 경험이 있습니다.

개념들도 낯설고 도무지 머리에 잘 안 들어오더군요.

들뢰즈를 처음 접하거나 저 같이 포기한 분들을 위해 들뢰즈를 읽는 쉽고,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날로 먹는 듯한... ^^)


ㅎㅎ , 사실 죄송한 말씀이지만, 어떤 철학 텍스트도 이해하기에 쉬운 길은 없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어떤 철학자의 텍스트이든지 그 텍스트가 요구하는 사유의 근력같은 것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그 근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해당 텍스트들을 끈질기게 물고 늘어져서 읽고 또 읽고,

정리하고, 주석 달고, 종합하거나 나름대로 분석하는 노동이 필요합니다.

이러다 보니 철학에 대해 어떤 낭만적 선입견을 가진 채로 입문하면 쉽게 지치고 말지요.

즉각적인 감동과 충격은 예술로부터 얻는 것입니다. 철학적 감동은 이 노동뒤에 아주아주 늦게 찾아옵니다.

하지만 그 감동은 예술적 감동보다 오래오래 가지요. <의미의 논리>도 그럴 거라고 미리 말씀드립니다.

강독강좌인 만큼 텍스트를 따라 산책하듯이 걷다보면 어느새 개념의 성좌가 우리 사유의 렌즈 안에 펼쳐질 것입니다.



68af63b6d64bdd0e5b4322c74b85b964.png


<의미의 논리>를 보며 난로가 갖는 존재의 일의성에 대해 깊이 사색 중이신 준영샘



Q4. 들뢰즈는 <차이와 반복>을 쓰고 나서, 불과 1년 뒤에 이 책을 발표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혹시 이 두 책의 연관성이 있는지요? 있다면 어떤 부분인지 미리 살짝 말씀해 주실 수 있나요?


물론 연관성이 있습니다.

이것은 제가 강좌하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해 보고자 하는 것인데요, 일단 개념적 연관성이 보입니다.

<차이와 반복>에서도 사건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지요.

그런데 그때 사건의미와 더불어 간다기보다 잠재성과 현행화라는 개념과 함께 갑니다.

이 개념들도 우리가 책을 보면서 이야기해봐야 합니다만, 아무튼 개념적 위상을 달리해서 논의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위상이 다르지만 사건은 반복되면서 변주되지요.

그리고 후기 철학에서도, 예컨대 <철학이란 무엇인가?>와 같은 저작에서도 사건은 다른 방식으로 등장합니다.

그것은 의미를 이미 <의미의 논리>에서 사건과 동급에 놓았기 때문에 가능해지는 것입니다.

이렇게 말해놓고 보니 궁금증만 더 유발한 것 같군요. ^^;;

살짝말해 달라고 해서 일단 그렇게 합니다.




Q5. <의미의 논리>의 내용에 대해 대략적인 설명을 부탁드릴게요.

뒷 표지나 역자 해제에 나오는 설명만으로는 이 책이 어떤 내용을 말하고자 하는지 잘 모르겠거든요.


첫 시간에 <의미의 논리>의 전체 틀거리를 짚고 나아가고자 합니다.

이 책은 그렇게 하지 않으면 이해가 더 힘들어 질 것이기 때문이지요.

이전 질문에서 잠깐 말한 것 같은데, 일단 이 책이 전제하고 있는 큰 틀은 사건=의미라는 구도입니다.

쉽게 말하면 우리가 일상적으로 말하고, 쓰고, 소통하는 언어에 존재론적인 핵심이 있다는 것이지요.

여기서부터 시작해서, 정신분석과 구조주의, 현상학, 스토아철학, 그리고 플라톤주의의 전복으로 분기하다가,

마지막에는 시간론, 즉 영원회귀의 시간으로 수렴됩니다.

그래서 이 책은 철학사의 재구성이라고 할 만한 스케일을 가지게 됩니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이 책은 철학적 개념들, 또는 이념들(Idea)이 등장하는 어떤 무대처럼 느껴지는 것이지요.

이 무대에 어울리다 보면 아마도 들뢰즈의 스타일이 어떤 것인지 알 수 있을 것입니다



 

Q6. 끝으로, 선생님께서 생각하시는 이 강좌의 목표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당연히, <의미의 논리>이해하는 것이겠지요.

하지만 첫 질문에 대한 답변에서도 말씀드렸다시피 그게 단 한번으로 이루어지지는 않겠지요? ^^

하지만 6번의 강좌를 하는 동안 우리 모두는 들뢰즈라고 하는 20세기 최고의 지성이 가진 사유 안에서

지적 즐거움을 함께 할 기회를 가지게 될 겁니다. 그 느낌이란 뭐랄까 ... ‘전율?’

그러고 보니 철학이란 삶의 경이라던 고대 그리스인들이 생각나네요.

<의미의 논리>는 우리 자신의 사유 안에 잠자고 있던 어떤 철학적 감각을 일깨우는 책이 될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기대해 봅니다.


876f61a359f2bc15ba763234902031d7.png

<의미의 논리>를 다 '이해'하면 나온다는 '전율'의 표정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수유너머 104의 정규강좌란? 어떻게 참여할까요? [2] vizario 2017.03.18 5059
공지 정규강좌 수강신청시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vizario 2017.03.21 1692
149 2017 여름강좌 3: 예술이론의 이데올로기 | 7월 7일 금요일 개강 | 강사: 최진석 choonghan 2017.06.13 1610
148 2017 여름강좌 2: 루쉰에 다가가는 6개의 단어 | 7월 12일 수요일 개강 | 강사: 최진호 choonghan 2017.06.13 2000
147 2017 여름강좌 1: 위안부 문제에 던지는 '다른' 질문들 | 7/10일 월요일 개강 | 7시 30분 시작 choonghan 2017.06.13 2574
146 [토요인문학] 강사인터뷰 2탄 :: 프로이트를 이해하기 위한 10개의 기본개념-김현석 선생님 [3] file 큰콩쥐 2017.04.09 562
145 [토요인문학] 강사인터뷰 1탄 :: 프로이트를 이해하기 위한 10개의 기본개념-김현석선생님 [1] file 큰콩쥐 2017.04.02 608
144 [토요인문학] 강좌신청방법 file 큰콩쥐 2017.04.02 711
143 [토요인문학] 시즌 2-1 프로이트를 이해하기 위한 10개의 기본개념 (4월 22일 개강!) file 큰콩쥐 2017.03.31 2280
142 강좌신청은 새로운 홈페이지에 올려주세요 수유너머104강좌팀 2017.03.23 272
141 [강사인터뷰] 니체 혹은 필로비오스_이진경 선생님 [1] 강좌팀 2017.03.20 2144
140 [토요인문학] 소개 :: '토요인문학'이 무엇인가요? file 큰콩쥐 2017.03.19 1684
139 [강사 인터뷰] 니체 혹은 필로비오스_이진경 선생님 choonghan 2017.03.18 910
138 [강사 인터뷰] 사건의 시작, 들뢰즈 「의미의 논리」 읽기_박준영 선생님 choonghan 2017.03.18 789
137 [강사 인터뷰] 플라톤 세계로 들어가는 6개의 문_강대진 선생님 choonghan 2017.03.18 533
136 [2017 수유너머 104 봄 강좌 ③] 니체 혹은 필로비오스 - 사랑할만한 삶이란 무엇인가 (이진경 / 3월 31일 금요일) 수유너머104 2017.03.18 1461
135 [2017 수유너머 104 봄 강좌 ①] 플라톤 세계로 들어가는 6개의 문 (강대진 / 3월 27일 월요일) 수유너머104 2017.03.18 1420
» [강사 인터뷰] 사건의 시작, 들뢰즈 <의미의 논리> 읽기_박준영 선생님 file 수유너머104강좌팀 2017.03.16 1421
133 [강사 인터뷰] 플라톤 세계로 들어가는 6개의 문_강대진 선생님 file 수유너머104강좌팀 2017.03.12 3232
132 [2017 수유너머 104 봄 강좌 ③] 니체 혹은 필로비오스 - 사랑할만한 삶이란 무엇인가 (이진경 / 3월 31일 금요일) [2] file 수유너머104강좌팀 2017.03.06 3436
CLOSE